제리코(Géricault)의 <메두사의 뗏목(The Raft of the Medusa)>
* 낭만주의
프랑스 대혁명 이후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서구 예술은 아름다운 형식을 통해 따뜻하고 고상한 인간성을 표현한다는 고전적 이상을 포기하고 삶 속에서 인간이 갖는 극단적인 감정 즉 기쁨과 환희, 사랑과 애증, 죽음, 고통, 광기, 자살과 연관된 인간 행위를 여과 없이 표현하게 된다. 바로 낭만주의인데 그 선구자로 흔히 프랑스의 테오도르 제리코(Théodore Géricault. 1791-1824)를 들 수 있으며, 그의 대표작으로 <메두사의 뗏목>을 꼽을 수 있다.
* <메두사의 뗏목>(1819년, 캔버스에 유화, 491 x 716 cm. 파리 루브르박물관.)
1816년 여름, 프랑스는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개척할 목적으로 거대한 군함을 대서양에 띄운다. 그 배에는 군인과 세네갈 정착민 그리고 행정가 등이 타고 있었다. 당시 식민지 개척은 막대한 부를 보장받는 것이기에 황금과 모험에 눈 먼 사람들이 이 현장에 참여하고자 했으며, 결국 자신의 이익을 위해 돈으로 관료를 매수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1816년 7월 2일 오후, 함장의 미숙함과 무능함은 곧 파멸로 이어졌다. 배가 항해 중 암초에 걸려 침몰하게 된 것이다. 이 배에 타고 있던 4백여 명의 인원 중 고위 관료를 비롯해 절반은 6개의 구명정에 나누어 타고는 목숨을 구했으나, 나머지 1백49명은 배의 잔해로 뗏목을 급히 만들어 몸을 싣게 된다.
이 뗏목에는 마실 것도 먹을 것도, 또 방향을 잡을 키도 없이 15일 동안이나 무작정 바다를 떠다니게 된다. 1816년 7월 11일 이 뗏목의 생존자는 단지 15명으로 줄어든다. 갈증과 질병으로 모두 물귀신이 되었다. 시체들은 태양열에 바짝 타들어가고 있었을 것이며 무지 역한 냄새를 품어내고 있었을 것이다. 살아있다 하더라도 굶주림과 갈증으로 해골처럼 야윈 얼굴을 했을 것이며, 피부는 더러움으로 오염되지 않았겠는가? 보다 견딜 수 없는 일은 옆의 동료가 언제 살인마로 둔갑하여 자신의 머리에 도끼를 들이댈지 모르는 죽음의 공포다. 바로 굶주림과 갈증을 이기지 못해 동료의 인육과 피를 입에 넣었다는 현장이 바로 여기였기에 말이다. 망망대해를 떠다니는 이 작고 초라한 공간은 살인과 죽음의 공포로 인해 도덕과 선이 지배하는 인간의 세상이 아니었던 것이다.
7월 17일, 표류 15일째 이들은 같이 출항했던 아르귀스호에 의해 극적으로 구조된다. 살아남은 이들은 모두 10명이지만 그들 모두 그 두려웠던 시간의 충격을 이기지 못해 모두 정신이상 증세를 보였다.
이 사건이 당시 언론을 통해 일제히 보도되자 사회적 경악과 충격은 실로 대단한 것이었다. 이기심과 사리사욕에 눈이 멀어 정부의 관료를 돈으로 매수한 사회적 부패상이 어떤 결과를 초래한 것인가? 그 행위는 무고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 학살 행위와 다를 것이 무엇인가? 국가와 정부는 더 이상 합리・합법적 행위와 이상적 자유주의를 실현한다는 숭고한 사명을 지니지 않은 것 같다.
제리코는 이런 비참하고 암담한 상황을 그리기 위해 생존자들을 찾아가 증언을 듣는다. 그리고는 삶에 대한 인간의 본능이 가장 강하게 움직이는 순간을 포착하여 그렸다. 삶에 대한 아무런 희망도 없이 그저 뜨거운 열기의 바다를 떠다니다 느닷없이 배를 발견하고는 새로운 삶의 희망이 용솟음치는 급박한 순간, 죽음의 절망에서 삶의 희망이라는 새로운 환희의 감정을 안게 된 순간을 그린 것이다.
뗏목의 좌측과 전경에는 시체들이 있다. 중앙의 시체는 바다에 떠밀려가야 하는데 다리가 나무 사이에 끼었다. 그래서 바다로 떠내려가지 못한 채 상체가 바닷물에 잠겨 퉁퉁 불어 부유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자가 입고 있던 옷이 뒤로 뒤집혀지고 얼굴이 바다에 잠겨 인물의 형체를 알아볼 수 없다. 그림 좌측을 보면 건장한 육체를 가진 자의 하반신이 뗏목사이로 빠져 물에 잠긴 채 죽어 끌려 다니고 있다. 처참한 죽음이다. 뗏목 우측의 노인을 보면 삶의 희망을 부르짖는 젊은이들의 외침과는 상관없이 죽은 아들의 시체가 떠내려가지 못하도록 자신의 다리에 올려놓고 망연자실한 표정이다.
그 노인의 왼쪽으로는 어떤 사람이 앞으로 넘어져 고꾸라져 있고, 술통 옆에서 나뒹굴고 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삶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부르짖는 동료들의 외침 소리에 몸을 가누며 소리가 나는 곳을 향해 몸을 드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뗏목 가운데에는 피 묻은 도끼가 보이는데, 바로 이 도끼가 굶주림과 갈증을 이기지 못해 동료를 살해했던 도끼이다.
그리고 돛 쪽을 보면 여러 사람이 모여 있고, 그 중 한 사람이 뒤를 돌아보며 희망찬 외침을 하고 있다. 가운데의 사람은 두 손을 모아 하느님께 구원에 대한 감사 기도를 드리는 모습이다. 돛의 뒤쪽에는 검고 큰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이는 그 하늘의 모습과 더불어 죽음의 상징이다. 그러나 그림의 우측에는 파도도 없고 하늘도 검지 않다. 구도 상 이 그림이 죽음에서 삶으로 전이되는 인간들의 운명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운명이 이처럼 항상 불안하고 공포로 가득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안정된 삼각형 구도를 통해 암시하고 있다.
이처럼 제리코는 기독교의 윤리와 이성을 저버린 반인륜적인 사건을 재현하면서 인간의 실존을 다시금 재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비참하고 잔혹한 현실을 고발하기보다는 인간에 대한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그림은 화단에 ‘낭만주의 격정’을 불러일으킨 역사적인 작품이다.
'미술의 이해-권용준교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과 자연 - 사실주의 (0) | 2009.09.15 |
---|---|
낭만주의 - 고야<1808년 5월 3일의 학살> (0) | 2009.06.26 |
고전적 낭만주의 - 앵그르 (0) | 2009.06.26 |
인간 감성의 발견 - 고전주의? 낭만주의? (0) | 2009.06.26 |
계몽주의 -글뢰즈 (0) | 2009.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