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허영한교수

이미지와 음악

 

소리의 존재

(1) 우리의 일상 생활 중에 소리의 존재를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나 실제로 우리는 항상 소리와 함께 살고 있다.

(2) 우리가 눈으로 보는 많은 사물들은 이미지만으로 받아들여지지만 그 이미지는 대부분 소리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 자동차를 떠올리면 멈춰있는 이미지와 움직이는 이미지를 동시에 생각할 수 있으며 이 때 

        움직이는 이미지는 소리를 포함하고 있다.

   2) 바다를 멀리서 바라다보면 푸른색의 이미지가 떠올려지지만 가까이 가면 파도의 출렁이는

        소리가 들려온다.

(3) 미국의 20세기 현대음악 작곡가인 존 케이지(John Cage)는 3분 33초라는 작품을 발표했는데

     무대에 올라온 피아노 연주자는 3분 33초 동안 아무런 연주도 하지 않고 곡을 끝낸다. 

(4) 케이지의 생각은 그 아무런 연주를 하지 않는 동안에도 가만히 들어보면 어디선가 지속적으로 소리가 들려오는데 바로 그 소리가 자신의 음악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항상 소리와 함께 생활하고 있음을 작품으로 옮겨 놓은 좋은 예이다.

 (5) 따라서 우리의 일상과 항상 함께 존재하는 소리가 차단되면 특별한 느낌을 주게 되며 그 이유는 소리의 소멸로 인해 일상이 아닌 특별한 상황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6) 보통 영화에서는 그런 소리의 소멸도 연출의 한 부분이 되어 특별한 상황을 만들어 낸다. 자

동차가 다니는 번잡한 길거리를 주인공이 걷던 중 주변의 소리가 갑자기 사라지면 특별한 느낌을

주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2. 음악과 영상의 관계

        (1) 영화에 사용되는 음악의 역할을 구분할 때 보통 보조, 조화, 대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2) 보조의 역할은 보통 우리가 음향 효과라고 하는 것인데 음악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운 단순한 효과음부터 상당히 긴 길이의 음악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3) 조화의 역할은 영상 이미지와 음악의 느낌이 일치하여 이미지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준다.

        (4) 대비의 역할은 이미지와 음악의 느낌이 상반되어 대비를 통해 이미지의 느낌과는 다른 의미를 만들어 내며 음악이 줄거리 전개에 매우 적극적으로 가담한다.

        (5) 음악의 역할이 이렇게 구분된다고 해도 각 역할에 맡는 음악이 정해져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 스탠리 쿠브릭 감독의 스페이스 오디세이 2001 (1968)

        (1) 스탠리 쿠브릭은 보통 영화를 위해 특별히 작곡된 영화 음악을 준비했다가 이를 포기하

            고 기존 음악을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선보였다.

        (2)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인류의 첫 모습부터 당시로는 33년 후의 모습이라 상상한 2001년까

           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화의 첫 20분 동안 배우들의 대화가 나오지 않는 특별한 상

           황에서 쿠브릭은 음악을 절묘하게 활용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3) 앞서 설명한 세 가지의 유형 중 조화의 예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첫 장면이다.

        (4) 이 장면은 원시시대의 유인원이 처음으로 도구와 불을 사용하게 되는 과정을 그리는 것

          으로 독일의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인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차라투스트라는 이

          렇게 말했다>를 사용하고 있다.

        (5) 슈트라우스의 교향시는 니체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작곡한 것이며 웅장한 오케스트라

         와 오르간, 그리고 타악기가 사용되어 인류의 시작을 알리는 음악으로 적절한 선택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음악과 이미지는 거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6) 이 영화의 중요한 모티브로 작용하는 것은 인류의 시작부터 존재해 왔던 검정 비석이다.

         이 검정 비석은 직육면체의 모양 때문에 그 인위적인 느낌과 신비로움이 강조된다.

      

        (7) 이 비석은 현대 문명의 인간도 풀 수 없는 수수께끼로 등장하여 이런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쿠브릭은 현대음악을 활용했다. 이런 류의 현대음악은 선율이나 강한 느낌의 리듬이

         없는 관계로 거의 음향 효과에 근접한다.

        (8) 원시 시대에서 현대 문명의 시대로 장면이 전환되면서 우주를 여행하는 우주선이 나온

         다. 이 장면도 대화 없이 비교적 긴 시간 지속되어 음악이 필수적이다.

        (9) 이 장면을 위해 감독은 뜻밖의 음악을 선택하였지만 그 결과는 놀라울 정도의 조화를 이

         룬다. 인류의 시작을 알리는 장면과 같이 이 장면에서도 음악은 조화의 역할을 하지만 그

         조화의 방법이 다르다.

        (10) 앞의 경우는 이미지와 음악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의존하여 음악을 선택했다면 이 장면

         은 직접적인 연관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왈츠의 가벼운 분위기가 거대한 우주선마저 우주

        속에서는 떠다니는 가벼운 물체라는 느낌을 만들어 준다.

        (11) 음악이 이미지와는 관계없이 대비를 이루며 새로운 영화적 의미를 발생시키는 예가 있

        다. 다음 장면은 주인공 보우만과 이 들이 여행하는 우주선을 통제하는 최고의 컴퓨터인 할

       이 문제를 일으키는 부분이다. 할은 인공지능을 지닌 컴퓨터로 보우만과 그의 동료를 보좌하

       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스스로 이 번 여행의 목적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한다. 이 때 컴퓨터

       할은 보우만에게 혹시 이번 임무에 대해서 다른 생각(the second thought)을 갖고 있는지 질

       문한다.

         (12) 이 장면에서 주인공은 계속적으로 우주선 안을 돌며 조깅을 하고 있는데, 그 배경음악

        으로 현악기로만 연주되는 다소 복잡한 음악이 깔린다. 달리기 하는 주인공의 이미지와 배

        경음악 사이에 생기는 불일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낸다.

        (12) 현악기라는 악기가 주를 이룸으로써 겉으로 보기에는 보우만이 육체적인 운동을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머리 속으로 많은 생각을 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음악의 종류 역시 다

        소 복잡한 다성음악적 짜임새를 보여 보우만이 깊은 생각에 빠져 있음을 보여준다.

        (13) 할이 보우만에게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묻기도 전에 우리는 그런 암시를 받고 있으

        며 할의 질문에 보우만이 부정하지만 우리는 보우만이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

        런 줄거리가 대사를 통해 드러나지 않지만 이 장면과 함께 사용된 음악이 그런 줄거리의 진

        행을 도와주고 있다.


결론

음악과 이미지의 결합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결정적인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쉬운 결합은 음악과 이미지를 일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뜻밖의 결합이 더 나은 효과를 줄 수도 있다. 여러 종류의 음악을 결합시켜가며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찾는 방법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