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배운 4개 종목을 완성한 회원을 중심으로 상급반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연습 과정을 반복훈련 및 기초 스타트 설명 및 스타트
연습을 한다.
구분
지도내용
지도시
유의점
1주
● 회원 인원파악(회원간의 인사, 강사소개)
● 출석체크
● W-up
자유형200m
● 자유형, 배영, 평영, 자세교정
● 접영발차기, pull, combi 연습
● 접영 25m왕복 연습
- 몸에
무리가 가지 않게 긴장을 풀면서 천천히 자유형 을
한다.
- 영법을 유심히 관찰하여 교정이 필요한 회원은
안돼 는 부분을 설명을 하면서 직접
잡아주면서 수업을 진행
- 졉영 발차기가 상, 하로 올리고
내림으로써, 자동적으 로 허리의 상, 하
진동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한층 효과적이다.
허리에 유연성이 많이 필요하므로 유연성을
기르고 무 릎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연습한다.
- 접영 연결동작시 발차기를 강하게 차려하는
과정에서 너무강하게 차면 무릎이 구부러
질 수 있다. 이점에 주의해야 한다.
접영의 Combination은 이러함을 찬찬히 설명과
함께 시범을 보여주어 이해가 되도록
한다. ① 양팔이 수면 위로 올려져 몸과
직각을 이룰 때까지 나간 후 머리를
단숨에 강하게 물 속으로 파묻는다. ②
양손을 입수시키면서, 동시에 양다리의 킥을 실시한 다.
③ 양팔로 물을 젖기 시작하면 동시에
호기(呼氣)를 시 작하고, 얼굴을
들 때 호기를 끝낸다. ④ 양팔로
물을 저어 나가며, 양팔이 몸과 직각이 되었 을
때, 머리를 들고 동시에 2회 째의 킥을 개시한다. ⑤
양팔로 물을 저어 수면 위로 떠오르며, 얼굴을 들어, 입을
수면 위에 내여 놓고 흡기(吸氣)를 한다.
2주
● W-up 자유형200m
● 자유형 교정
● 접영발차기,
pull, combi 연습 및 접영
25m왕복 연습
● 기초 스타트 설명 및 기초 스타트
연습
- 몸의 원활한 근육이완과
긴장을 해소하며 수온으로 인한 갑작스런
체온변화의 적응
- 자유형 교정 시 꺽기를 중점 지도한다.
팔꿈치가 잘 세워지는지 손을 앞으로
반듯하게 뻗는지 유심히 관 찰 하며 교정이
필요한 회원은 직접 잡아주면서 설명을 한다.
팔 다리를 쭉 뻗어 똑바르게 하고 수면에 엎드려
뜬 자 세가 크롤의 기본자세이다.
다리는 무릎을 가볍게 뻗어 좌우 교대로
상하로 움직여 발로 물장구를 치듯이
물을 때린다. 팔은 머리 끝을 가로
그은 선과 어깨선을 앞으로 연장 시킨 선에
교체하는 부근에서 손끝부터 물 속으로 몸통 방향과 같게
뻗듯이 넣어 20cm정도의 깊이에 이르면 물을
뒤쪽으로 밀어내듯이 긁는다. 이
때, 팔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고 어깨를 축으로 한 반원 을
그리는 게 아니라, 어깨 앞쯤에 왔을 때 팔꿈치 를
많이 굽혀 되도록 직선에 가깝게 팔을
빼야 한다. 물 을 긁고 난 팔은 좌우
교대로 물을 긁게 되는데, 한 쪽 팔이
물을 긁는 동작을 연속으로 반복한다. 따라서 팔은 좌우교대로
물을 긁게 되는데, 한쪽 팔이 물을 굵고 있 는 시간을
3이라고 한다면 수면 위에 있는 시간은 1 에 해당되며
다른 쪽 팔로 물을 긁는 동작이 끝나기 전 에 다른
쪽 팔은 이미 앞 쪽의 물 골에 들어가 있는 셈이 된다
양팔로 물을 한번 긁는 사이에 발은 좌우 각3회,
계6회 물을 상하로 때린다. 즉, "표준적인
6타 크롤" 임을 숙지 시킨다
- 접영구분동작 연습을 할 때 정확히 하도록
노력하며 모르는 부분은 지도교사의 도움을
받는다.
- 기초스타트는 양손을 가지런히 모으며,양발은
10-20cm 벌려서 발끈을 안쪽으로 해서 양쪽발의
엄지 발가락을 구부려 스타트대에 꼭 걸고 선다.
이때 양손은 앞으로 가지런히 내리며,
신체의 정지를 유지하기 위해 스타트를 밀든가,
잡아도 된다. 입수할 때까지 전신을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이 수중에 서 추진력을 얻는데 효과적이다.
우리는 선수로서 초를 다투는 속도 경쟁을 할 것이
아님 에 이왕이면 우아하고 부드럽게 뛰어드는
자세를 익힘 이 좋을 것임이라는 기준에 의해
배움에 임한다
3주
● W-up
●
운동량 조절 설명 및 연습
● 배영 자세 설명
● 접영발차기, pull, combi 연습
●
기초 스타트 반복연습
- 몸의 긴장을 풀면서
자세가 흩뜨러지지 않도록 천천히 하여
근육을 이완시켜준다.
- 먼저 운동량은 지구력증강에
초점을 맞추어 하게 하며 레인 중간에
서서 회원들이 운동하는 모습을 지켜보면 서
잘못된 부 분은 직접 잡아서 교정을 하도록 하며 중간에
회원들이 쉬지 않게 잘 보조해 준다.
- 배영자세는
pull동작에서 손이 물 밖으로 올라올 때 손 바닥이
허벅지를 스치면서 엄지손가락부터 위로 반 듯하게
올라와야 한다. 이때 팔과 어깨를 틀어주면서
새끼손가락부터 내려오면 서 팔이 귀를
스치게 하여야 한다. 어깨의 앞쪽 연장선상에서
물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팔은
완전히 펴야하고 손바닦이 바깥쪽을 향하게 하면 서 먼저
새끼손가락이 물에 입수되도록 지도하며 입수 된
팔이 360돌아가지 않게 옆구리 쪽으로 내려주도록 지도한다
- 접영 콤비연습은 우선 리듬에 맞추어 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인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지도교사의 보조 에 맞게 연습을 한다
- 스타트반복 연습 무릎을
살짝 굽혀 반쯤 쪼그려 않을 자세에서 두 손을 편채 거꾸로
된 V 자형으로 뒤로 뺀 후 무게 중심을 이 동시켜 몸이45도정도
기울었을 때 두 팔을 밑으로 훌터 크게 휘두름과
동시에 무릎을 완전히 구부려 쪼그려 안 았다가
힘껏 차 오르며 뛰어 들도록 한다.
4주
● W-up
● 운동량 조절 연습
●
평영 자세 설명
● 접영 25m왕복 연습
● 스타트 연습
- 몸의 긴장을 풀면서 자세가 흩뜨러지지
않도록 천천히 하여 근육을 이완시켜준다.
- 평영자세는 다리를 당겨서 발차기를 하는데 허리선이
밑으로 쳐져있는가를 확인한다. 평영에서의
팔은 심장모양의 타원형을 그리면서 움이는 데,
다리동작에 의하여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나아가는 중에는 양손을
모아 쭉 뻗으면서 전진하고, 다리동작에 의한 추진력이
소멸되면 호흡을 위해 물을 누르도록 한 다.
팔 동작에 있어서 양손을 너무 벌린다던가,
팔꿈치를 너 무 몸쪽으로 당긴다거나,
팔꿈치를 내린 상태에서 물을 끌어당길
경우에는 추진력이 약화된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 접영 50m 왕복 반복 연습
- 스타트 반복 연습(15분) 떨어질
때 머리는 뻗은 두 손 사이에 밀착되게 하 며
엄지발가락을 서로 붙이고 무릎을 펴며 발레 할 때처 럼 발목
또한 곧게 펴야 한다.